티스토리 뷰
참고 : 0차 행렬의 det(A)는 1
1차행렬의 det(A)는 자기자신
2차 정사각 행렬 A
에 대하여, 역행렬 이 존재할 조건은 ( 가역행렬일 조건은 )
이었음을 기억하자
또한 이때 A에 대한 은 다음과 같다.
이를 이용해
A를 2차보다 큰 차수의 행렬로 확장하였을 때 역행렬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풀어서 보자
귀납적 방법을 사용한다.
n 차 정사각 행렬에 대하여
정사각행렬 A의 i행과 j열을 제외하고 이루어진 부분행렬의 행렬식을
라고 쓰고 A의 성분 의 소행렬식( Minor of Entry )이라고 한다.
예를 들어 3차행렬 A의 성분 의 소행렬식은
이며
n차 행렬에 대한 행렬 A의 소행렬식은 아래에서 나오는 와 귀납적인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.
아직 n차 행렬에 대한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보자면
n차 행렬의 M11 은 m11 을 제외한 부분행렬의 determinant이며 해당 부분행렬이 2차행렬이 아니면
M11의 부분행렬의 determinant 값을 구한다.
부분행렬이 2차행렬일때 까지 계속 해당 행렬의 부분행렬의 determinant 를 구하게 되고 마침내 2차행렬을 만나게 되면
그곳에서 부터 determinant 를 얻게 될 것이다.
소행렬식과 행렬의 위치를 이용하여 다음과같은 연산을 할수 있다.
이것을
라고 쓰고 A의 성분 의 여인수( Cofactor of Entry ) 라고 한다.
정의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성분 의 소행렬식와 여인수는 부호만 서로 다른것에 지나지 않는다.
( 참고로 이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체커판이 완성된다.
)
소행렬식과 여인수에 의한 3*3 행렬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.
이 방정식은 A의 첫째 행에 있는 각 성분에 각각의 여인수를 곱하고 그것들을 합치고있다.
이것은 다음과 같이도 정의할 수 있다.
꼭 첫 번째 행이 아니어도 같은 값이 나온다.
다른항으로도 위의 식처럼 풀어서 써보면 결국 같은 값을 얻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.
이와같은 방식으로 를 계산하는 방법을
A의 n번쨰 행(또는 열) 에 대한 여인수 전개 (Cofactor Expansion) 라고 한다.
n*n 행렬 A 의 행렬식은 어느 하나의 행(또는 열) 의 성분과 그 성분의 여인수를 곱한것들을 모두 더한 것 과 같다.
임의의 i , j 에 대해
(단, )
( j 열에 의한 여인수 전개 )
( i 행에 의한 여인수 전개 )
참고로
어떤 한 행의 각 성분에
다른 한 행의 성분에 해당하는 여인수를 곱하여
이들을 합치면 항상 0 으로 된다. ( 열도 마찬가지, 증명 ㄴ )
n*n 행렬 A 의 성분 의 여인수를 라고 할 때 행렬
을 A의 여인수 행렬(Matrix of Cofactors from A) 이라 하며
이 행렬의 전치 행렬을 A의 수반행렬 (Adjoint of A) 이라고 하며
라고 나타낸다.
cf) 전치행렬:
행렬 내의 원소를 대각선축 기준으로 서로 위치를 바꾼것, 즉 m*n 행렬의 전치행렬은 n*m 행렬이된다.
여기까지 왔으면 마침내 역행렬을 구하기위해 필요한 것들을 얻어내었다.
따라서 이제는
를 계산할수 있게되었다.
'mmmmmmmmmmmmmmath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벡터의 내적 기본개념 - 3D게임에서 다시 만나게 된 추억의 수학 (0) | 2018.05.03 |
---|---|
역행렬 (0) | 2017.06.11 |
행렬 matrix 이야기 (0) | 2017.06.11 |